티스토리 뷰
목차
출산 이후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모유 수유입니다.
하지만 처음 모유 수유를 시작할 때는 젖 물리기, 수유 자세, 젖량 부족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.
이런 문제를 전문적으로 돕기 위해 보건소와 병원에서는 모유수유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모유수유클리닉 예약 방법과 이용 절차, 그리고 실제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.
🎯 모유수유클리닉 대상자
모유수유클리닉은 출산 후 아기에게 모유 수유를 계획하거나 진행 중인 산모와 아기를 대상으로 운영됩니다.
특히 수유 시 통증이 있거나 아기가 젖을 잘 물지 못하는 경우, 젖량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, 혹은 올바른 수유 자세를 배우고 싶은 경우에 큰 도움이 됩니다.
또한 산후 우울감이나 육아 스트레스가 큰 산모들도 상담과 교육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습니다.
즉, 출산 직후부터 아기가 이유식을 시작하기 전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산모와 아기가 이용할 수 있는 곳입니다.
💡 예약 가능한 장소와 운영 방식
모유수유클리닉은 전국 대부분의 보건소에서 운영하고 있으며, 일부 산부인과 병원이나 산후조리원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보건소의 경우 지역 주민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,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 장점입니다.
병원이나 산후조리원은 전문 간호사나 국제 모유수유 전문가(IBCLC)가 직접 상담을 진행하며, 예약 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운영 방식은 개별 상담, 그룹 교육, 실습 프로그램 등 다양하며, 일부 지자체에서는 온라인 상담이나 화상 교육도 병행하고 있습니다.
📝 모유수유클리닉 예약 절차
예약은 주로 보건소 대표번호나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진행됩니다.
일부 지자체 보건소 홈페이지에서는 ‘모유수유클리닉 예약’ 메뉴를 통해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병원은 산부인과 진료 시 예약이 가능하거나 전화로 문의하여 일정을 잡을 수 있습니다.
예약 시 아기 출생일, 산모의 건강 상태, 상담 희망 날짜를 알려주어야 하며, 경우에 따라 출생증명서 제출을 요청하기도 합니다.
대부분 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되므로 출산 직후 가능한 한 빠르게 예약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예약 방법 | 장소 | 비용 |
보건소 전화/홈페이지 | 지역 보건소 | 무료 |
병원 전화/현장 예약 | 산부인과 병원 | 유료 (병원별 상이) |
산후조리원 안내 | 산후조리원 내 클리닉 | 조리원 비용에 포함 |
📌 신청 및 참고 사이트
아래는 모유수유클리닉 예약 및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이트입니다.
구분 | 사이트명 | 접속 주소 |
정부 서비스 | 정부24 | https://www.gov.kr |
보건복지 정보 | 보건복지부 | https://www.mohw.go.kr |
서울시민 서비스 | 서울맘케어 | https://www.seoulmomcare.com |
🌸 맺음말
모유수유클리닉은 단순한 상담을 넘어 산모와 아기가 건강하게 수유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소중한 제도입니다.
무료로 제공되는 보건소 서비스를 활용하면 부담 없이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, 병원이나 조리원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세밀한 지도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.
출산 후 모유 수유에 어려움이 있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꼭 모유수유클리닉을 예약해 보시길 바랍니다.
전문가의 상담과 지도를 통해 산모와 아기 모두 건강하고 행복한 수유 생활을 이어가시길 응원합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